동양(001520) 주가 분석|상한가 이유·차트 패턴·재무 현황·전망 총정리

📌상한가로 주목받는 동양, 무슨 일이?

2025년 10월 14일, 동양 주가가 전일 대비 +29.92% 상승하며 1,003원으로 상한가에 도달했습니다.
단 하루 만에 99,694,866주의 거래량이 터지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근 거래 추이와 외국인·기관의 수급, 차트 패턴, 재무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단기 급등 배경과 향후 흐름을 예측할 단서들이 포착됩니다.

동양(001520) 주가 분석|상한가 이유·차트 패턴·재무 현황·전망 총정리

동양(001520) 주가 기술적·재무 분석으로 본 투자 전략


📈기술적 분석 (차트·거래량·패턴)

  • 종가: 1,003원 (상한가)
  • 시가: 779원 / 고가: 1,003원 / 저가: 775원
  • 거래량: 9,969만 주 (거래대금 약 912억 원)
  • 52주 고가: 1,330원 / 52주 저가: 507원

차트를 보면 오전 장 초반 저점 부근에서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수직 상승 후 종가까지 강한 매수세가 유지됐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상한가 장대양봉 패턴”으로, 단기 모멘텀 매매 세력의 진입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매수세 집중 구간: 10:00~10:30 급등
  • 상한가 매수잔량: 약 110만 주 이상
  • 거래량 폭발: 전일 대비 약 9배 수준

👉 이러한 패턴은 단기 재료 이슈 또는 수급 주도 급등에서 자주 나타나며, 익일 ‘갭상승+단기 조정’ 또는 ‘상승세 연속’의 갈림길에 서 있는 형태입니다.


📊 수급 분석 (개인·기관·외국인)

구분 순매수량(주) 비고
개인 +94만 주 상한가 매수 주도
기관 -4만 주 차익 실현 또는 관망
외국인 -89만 주 단기 이탈

기관과 외국인은 순매도 포지션을 취했지만, 개인의 강력한 매수세가 상한가를 만들어낸 핵심 동력입니다.
이는 단기 ‘재료발 이슈’ 혹은 ‘테마 편승’ 가능성을 높이며, 다음 거래일 단기 변동성 확대가 예상됩니다.


💹 재무 분석

  • 시가총액: 2,394억 원
  • PBR: 0.21배 (저평가 구간)
  • PER: N/A (적자 상태)
  • EPS: -349원
  • BPS: 3,676원

재무 지표를 보면 현재 주가는 BPS 대비 큰 폭으로 저평가된 상태(PBR 0.21)입니다.
다만 EPS가 마이너스로, 최근 3년 연속 영업이익 변동성이 크고 적자 전환이 발생한 점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최근 실적 추이:

  • 2022년 당기순이익 182억 원
  • 2024년 당기순손실 742억 원
  •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 -35억 원 (잠정치)

👉 실적 회복보다는 테마성 수급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으로 분석됩니다.

동양(001520) 주가 분석|상한가 이유·차트 패턴·재무 현황·전망 총정리


📉 밴드차트 및 주가 추세

PBR 밴드 차트를 보면 주가는 2024년 고점 이후 꾸준히 하락하다가 저점(500원대) 부근에서 기술적 반등이 나왔습니다.
이번 상한가는 단기 반등 랠리의 시발점이 될 수도 있으나, 중장기 추세 전환 신호로 보기는 아직 이릅니다.

  • 단기 목표 저항선: 1,100원~1,200원
  • 지지선: 900원 초반대
  • 추세 전환 시그널: 거래량 유지 + 5일선 지지

🧾기업 개요 및 모멘텀

동양은 1955년 설립된 레미콘·건설자재 기업으로, 전국적 레미콘 공급망과 플랜트 사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건설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저PBR 자산가치 + 재료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입니다.

  • 사업 분야: 레미콘, 건설, 플랜트, 산업용 자재
  • 발행주식수: 2억 3,868만 주
  • 유통비율: 47.55%

👉 현재 주가 급등은 펀더멘털보다는 정책/테마성 기대감 + 기술적 반등에 가깝습니다.


🧭 결론 — 투자 전략과 시나리오

✅ 단기 시나리오

  • 1차 목표가: 1,100원~1,200원 (상승 여력 약 10~20%)
  • 손절선: 900원 이탈 시 단기 조정 가능성 ↑
  • 전략: 익일 시초가 갭상승 후 1차 익절 매매 유효

📈 중장기 시나리오

  • 저PBR, 자산가치 측면에서는 중장기 보유 메리트가 일부 존재하나,
  • 실적 적자 흐름 지속 시 밸류에이션 회복이 제한적일 수 있음.
  • 건설경기 회복 or 구조조정/자산 매각 등의 재료 여부가 핵심 변수.

👉 핵심 관전 포인트: 외국인 수급 전환 + 거래량 유지 여부


📌 요약

  • 📊 상한가 돌파(1,003원) — 단기 테마성 급등 패턴
  • 🏦 개인 매수세 주도 / 기관·외국인 매도
  • 🧾 PBR 0.21로 저평가 구간이지만 EPS 적자는 부담
  • 📉 단기 목표 1,100~1,200원 / 손절선 900원
  • ⚠️ 실적 회복보다 수급 기반 급등이라는 점에 유의 필요

 

위로 스크롤